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부터 새롭게 개편됩니다. 정부의 기여금 지원은 물론, 비과세 혜택과 신용점수 가산점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 2025년부터 바뀌는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가입 조건, 신청 방법까지 알려드릴테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청년도약계좌란?
-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 정부 기여금 최대 월 3.3만원까지 지원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제공
- 일정 요건 충족 시 신용점수 가점까지!
👉 저축만 해도 나라에서 돈 얹어주고, 이자에 세금도 안 붙고, 신용점수까지 올라가는 상품입니다.
✅ 2025년 개편된 혜택
1. 정부 기여금 지원 상향
2025년부터는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월 3.3만원까지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개인소득 구간(연소득) | 기여금 상한액 (2025년) |
2,400만원 이하 | 33,000원 (+9,000원 인상) |
2,400만 초과 ~ 3,600만원 | 29,000원 |
3,600만 초과 ~ 4,800만원 | 25,000원 |
4,800만 초과 ~ 6,000만원 | 21,000원 |
기여금은 본인이 납입한 금액만큼 전부 지급됩니다.
일반 적금과 비교 시 연 최대 9.54% 수준 수익률 효과!
2.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에도 혜택 유지
이제는 만기(5년) 전 중도해지하더라도, 3년 이상 유지했다면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 시:
👉 비과세 혜택 유지 + 정부기여금 60% 지급
👉 일반 적금 대비 연 최대 7.64% 수준 수익률
3. 성실납입 시 신용점수 가산 혜택
- 2년 이상, 총 800만원 이상 납입한 경우
- KCB/NICE 기준 신용점수 가점 5~10점 부여
- 따로 증빙 필요 없이 납입정보 자동 연동
이제는 저축만 잘해도 신용점수까지 오른다!
✅ 가입 조건은?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34세 이하
→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가능 - 개인소득: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육아휴직급여,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는 가입 가능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금융소득: 직전 3개년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아님
✅ 상품 요약
- 적립 방식: 자유적립 (월 최대 70만원)
- 이자 지급 방식: 만기일시지급 (이자소득 비과세)
- 기여금: 소득구간별 정부 지원 + 우대금리(저소득층 대상)
- 만기 연장: 불가 (5년 후 종료)
💡 참고: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
✅ 신청 방법
- 가입 신청: 12개 주요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 신청 기간: 6월부터 매달
- 요건 확인: 신청 후 약 2주간 가입 가능 여부 심사
- 계좌 개설: 요건 충족 시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능
💡 추가 혜택: 청년금융컨설팅 무료 제공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전문가와의 재무 상담 서비스를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
- 지원대상: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유지 중인 자
- 지원내용:
- 기초 재무진단
- 신용·부채 상담 (비대면 전화)
- 재무상담 (은행 방문 상담)
👉 상담 신청: 은행연합회 금융교육 포털 또는 해당 은행 앱
2025년부터 더 강력해진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 + 비과세 + 신용점수 + 재무 컨설팅까지 받을 수 있는 청년 맞춤형 자산 형성 상품으로 꼭 챙겨야 할 제도입니다.
매달 70만 원 저축으로 내 미래를 만들고, 국가 지원까지 받는 방법 지금부터 준비해보세요!
📌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