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아이폰 유저들에게 반가운 소식입니다. 2025년 7월 22일부터 아이폰과 애플워치로 티머니 대중교통 결제가 가능해졌습니다.
    애플페이에서 티머니 교통카드를 직접 등록하고, 충전하고, 결제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아이폰 애플페이 티머니 등록 방법부터 자동충전까지 꼭 알아야 할 기능과 주의사항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애플페이 티머니 등록 방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애플페이로 티머니를 사용하려면 애플 지갑(Wallet)에서 추가 혹은 모바일 티머니앱

    1. 아이폰에서 ‘지갑’ 앱 실행
    2. 우측 상단의 ‘+’ 버튼 선택
    3. 교통카드 → 티머니 선택
    4. 원하는 충전 금액 선택 및 결제
    5. 이용 약관 동의 및 측면 버튼 2회 눌러 인증

    이제 티머니 카드가 애플페이에 등록되며, 지갑 앱 또는 iOS용 티머니 앱에서 언제든지 추가 충전이 가능합니다.

    요약: 애플페이 지갑 앱에서 티머니 카드를 간단히 등록하고 충전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애플페이 티머니 자동충전 설정 방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애플페이 티머니는 후불 교통카드를 지원하지 않지만, 자동충전 기능은 탑재되어 있습니다.
    사용 중 잔액이 부족하면 자동으로 설정된 금액만큼 충전되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 자동충전 설정 절차

    • 티머니 등록 시 자동충전 기능 선택 가능
    • 또는 지갑 앱/티머니 앱 > 티머니 카드 선택 > 자동충전 설정

    예) 잔액 5,000원 이하 → 3만원 자동 충전 등 조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자동충전 설정은 해제도 간편하며, 새로운 아이폰으로 변경해도 설정은 유지됩니다.

    요약: 자동충전 기능을 활용하면 잔액 걱정 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익스프레스 모드 설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아이폰티머니 교통카드 사용방법

    ‘익스프레스 모드’는 아이폰을 켜지 않아도 교통카드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 익스프레스 모드 장점

    • 지갑 앱 실행 없이 바로 결제
    • 전원이 꺼진 후에도 약 5시간까지 사용 가능
    • 지문/페이스ID 인증 없이 즉시 결제 가능

    설정 방법은 지갑 앱 내 티머니 카드 선택 후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항목을 켜기만 하면 끝!
    배터리가 없어도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수 있으니, 긴급 상황에서도 매우 유용하겠죠?

    요약: 익스프레스 모드로 빠르고 간편하게 티머니 결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아직은 초기 서비스인 만큼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후불교통카드 지원 불가 → 사전 충전 필수
    2. 기후동행카드 등 일부 지자체 할인카드 미지원
    3. 지갑 앱 충전은 현대카드만 지원
    4. iOS 17.2 이상 기기만 사용 가능

    💡 다만 iOS용 티머니 앱에서는 현대카드 외에도 다른 카드, 계좌이체, 마일리지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요약: 애플페이 티머니는 충전 방식과 카드 지원 범위에 일부 제약이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지금까지는 안드로이드에서만 가능했던 모바일 티머니 교통카드, 이제는 아이폰과 애플워치 사용자도 동일한 편의를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복잡한 등록 없이, 익스프레스 모드로 빠르게. 자동충전 기능까지 더해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 방법

    반응형